반응형


핸드폰을 사용하다 보면, 어느 순간 '처음 샀을때 보다 사용시간이 짧아 졌다?' 라는 느낌을 받으실때가 있습니다.

이건 배터리가 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제품이 아닌 소모품 이기 때문 입니다.


그럼, '배터리는 언제 교체해야 할까?' 라는 의문이 들게 됩니다.


배터리는 출고 용량 대비 현재 용량이 40% 정도가 남게 되면 배터리소모가 빨라지고, 20~30%가 남게 되면 꺼짐 현상이 발생 된다고 합니다.

배터리는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죠.


이제, 아이폰 배터리 출고 용량과 현재 용량을 알아보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배터리 용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iBackupBot 라는 프로그램이 필요 합니다.


윈도우 OS 용

ibackupbot_setup.exe

맥 OS 용

iBackupBot-Setup.vol1.egg

iBackupBot-Setup.vol2.egg


프로그램은 블로그에서 받으시거나 아래 사이트로 이동해 받아 주시면 됩니다.


http://www.icopybot.com/download.htm



위 링크로 이동 하시면 CopyBot.com 이라는 사이트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3~4번에 있는 uBackupBot 를 받아 주시면 됩니다. 3번은 윈도우, 4번은 맥용 입니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설치 하신후에 실행 시켜 주시면 됩니다.

설치 과정은 간단하니 생략 하겠습니다.



배터리 용량을 체크 하고자 하는 아이폰 or 아이패드를 PC에 연결한 후에 iBackupBot을 실행 시키면 위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좌측 아래 Devices에 보시면 xxx의 IPhone 라고 되어 있습니다. 

xxx의 IPhone를 클릭해 이동 합니다.



xxx의 IPhone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아이폰 정보가 나오는데요. 

아이폰 모양 아래 부분의 More Information을 클릭 하시면 배터리 정보를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배터리 정보가 제일 위에 나타나게 됩니다.

CycleCount : 현재까지 충전 횟수

DesignCapacity : 출고시 배터리 용량

FullChargeCapacity : 현재 배터리 최대 용량


위 기기를 예를 들어 보게 되면

현재까지 충전 횟수는 585 회 입니다.


이 충전 횟수는 0-100% 충전이 되었을때 횟수 입니다.

즉. 70% 충전을 하면 카운트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후에 30% 충전을 했을 경우에 1카운트가 됩니다.

배터리 효율은 1500/1690 = 88.75% 

출고 당시 보다 12%정도 떨어진 상태 입니다.


위 프로그램으로 현재 배터리 상태를 알수 있으니, 배터리 상태를 알아 보려 센터 방문을 하지 않아도 될거 같습니다.

반응형
250x250